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기자가 본 통합총회, 몇 가지 아쉬움 남아..

기사승인 2022.09.27  13:24:09

공유
default_news_ad1

- 다수결, 여성 할당제, 총대 수 등 논의 필요

<교회와신앙> 이신성 기자】   제107회 예장통합 총회가 경남 창원 양곡교회(지용수 목사)에서 지난 9월 20일부터 1박 2일의 일정으로 진행됐다. 기자는 이번 총회를 직접 취재했다. 보다 생생한 총회 현장의 내용을 발 빠르게 전달하기 위해서다. 교단 총회가 끝날 때마다 아쉬운 점들이 남는다. 이번 예장통합 총회에서는 다수결, 여성총대 할당제, 총대 수 조정 등에서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이전의 3박 4일에서 2박 3일로 줄어든 일정에도 불구하고 이번 총회는 하루 앞서 폐회됐다. 1박 2일인 셈이다. 일각에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했으니 빨리 끝낼만하다는 소리도 나왔다. 이런 의식이라면 앞으로 당일치기로 해도 될 듯하다. 문제는 내용이다. 심사숙고해 처리해야 할 여러 헌의안들 중 폐기되는 것과 받아들여지는 것의 구분에 대해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는 점이다. 이런 식이라면 굳이 총회가 필요할까?

   
▲ 제107회 예장통합 총회 모습. 1366명의 총대들이 참석했다. 장소 선정이나 재정 절약 등을 위해 500명 이하로 총회 총대 수를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총대들은 거의 대부분이 남성이다. 여성 총대 할당제 의무화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다수결의 원칙, 논의가 필요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일반적으로 다수결의 원칙이 통용된다. 예장통합 총회 역시 총회 때 다수결로 안건을 다루는 것에 익숙하다.

613 : 465. 명성교회 수습안 철회 및 취소를 요구하는 6개 노회 헌의안을 폐기하는 찬반 투표수이다. 이번 통합 총회는 다수결의 원칙을 다시 한 번 숙고하게 만들었다. 왜냐하면 때로는 총회의 다수결이 민의를 왜곡하는 횡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제107회 예장통합 총회가 경남 창원 양곡교회(지용수 목사)에서 지난 9월 20일부터 1박 2일의 일정으로 진행됐다.

첫날 회무 진행을 하던 김의식 목사부총회장은 6개 노회에서 올린 ‘제104회 총회가 결의한 명성교회 수습안을 취소 혹은 철회해 달라는 헌의안’을 정치부로 보내지 않고 폐기시키는 안을 두고 투표를 진행했다. 찬성이 613표, 반대는 465표로 총회에 상정된 6개의 헌의안을 그 자리에서 폐기시켜 버렸다. 이로써 예장통합 총회는 명성교회 세습을 반대하는 안건을 아예 다루지 못하게 만들었다. 이와 반대로 명성교회 세습의 걸림돌로 여겨지는 소위 세습 금지법인 총회 헌법 제28조 6항을 폐지해 달라는 헌의안은 받아들여 1년 연구하기로 했다.

노회에서 총회에 상정한 헌의안을 총회가 담당부서로 보내 제대로 다루지도 않고 폐기시키려 하는 데 과반수의 총대들이 찬성했다는 점은 심각한 문제다. 이후로 다른 헌의안도 총대들의 입맛에 맞지 않으면 얼마든지 폐기시킬 수 있는 전례가 생겼기 때문이다.

또한 노회에서 상정한 헌의안에 담긴 일선 교회 성도들의 뜻을 총회 총대들이 헤아리고 대변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생긴다. 적지 않은 교회와 성도들은 명성교회 세습이 잘못됐으며 총회가 그 잘못을 바로잡기를 원했다. 하지만 총대들은 그렇게 할 기회마저 버렸다. 이런 점에서 이번 총회 총대들의 투표 결과는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다수결 투표의 원칙이 오히려 민의를 왜곡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결정을 하는 횡포로 변질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 되리라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이번 사건은 교단 총회의 다수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여성 총대 할당제 의무화?

이번 총회에는 여전도회전국연합회(회장 최효녀 장로)가 청원한 ‘여성 총대 할당제 의무화’ 안건이 있었다. 이 안건의 내용은 ‘총대를 20인 이상 파송하는 노회는 여성 목사 총대 1인, 여성 장로 총대 1인을 의무적으로 파송’하는 것이다. 이렇게 할 때 총회 산하 69개 노회에서 파송한 138명의 여성 총대가 총회에서 활약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사실 예장통합은 2017년 제102회 총회에서 “모든 노회가 여성 총대 1인 이상을 총회 총대로 파송할 것”을 결의했음에도 불구하고 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번 제107회 총회에 참석한 여성총대 숫자는 총 37명으로 29개 노회만이 여성 총대를 파송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엇보다 여성 총대 파송 결의가 의무가 아닌 권고이기 때문에 노회들이 지키지 않고 있다. 그래서 여전도회가 나서서 ‘의무화’ 청원을 올린 것이다.

김지은 목사(미국 장로교(PCUSA) 세계선교부 동아시아 책임자)는 “총회 현장에서 여성 총대의 모습을 거의 볼 수 없어 아쉬웠다”고 안타까움을 밝히며 “대의제를 기본으로 하는 장로교에 여성, 청년 등 다양한 그룹을 대변하는 목소리가 골고루 들리고 반영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총회 임원회가 여전도회전국연합회의 ‘여성 총대 할당제 의무화’ 청원 안건을 어떻게 다룰지 초미의 관심사다.

   
▲ 안건마다 전자 투표로 표결을 하여 결과를 알리는 통합 총회 모습. 총대 입맛에 따른 다수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총회 총대 수 조정해야

이와 함께 예장통합 총회 총대 수가 너무 많다는 것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목사 총대 750명과 장로 총대 750명, 총 1,500명의 총대가 재적이다. 이번에는 1366명의 총대가 참석했으며, 증경총회장, 장로부총회장, 기관장, 기자단, 참관인 등을 고려하면 보통 2천 여명이 총회 때 모인다. 이런 점에서 총회를 개최할 수 있는 장소(교회)가 그리 많지 않다.

예장 통합은 지난 제104회 총회에서 총회 총대 1500명을 1000명으로 축소하는 헌법개정안이 상정했었다. 하지만 결의정족수 3분의 2를 얻지 못해 총회 석상에서 폐기됐다. 무엇보다 전국 69개 노회에서 총회 총대로 뽑히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하는 분위기에서는 총대 수를 조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약 5천만 명의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 300명이라는 점에서, 약 2백만 명의 교인을 대표하는 총회 총대가 1,500명이라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예장통합은 다음 총회에서라도 총대 수를 과감하게 줄여야 한다. 바라기는 지금의 5분의 1인 300명 선으로 줄여야 한다. 방안이 없는 것이 아니다.

노회에서 노회장, 서기, 회계 등 목사와 장로 동수로 2명씩이든 3명씩으로 총대 수를 제한하면 된다. 각 노회당 4명의 총회 총대를 파송한다면 69개 노회이니 총 276명이 된다. 여기에 당시 노회장과 서기, 회계 등이 아닌 총회 임원들의 숫자를 고려하면 300명 안팎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만약 노회 당 6명으로 총회 총대를 제한하면 420명 정도 된다.

이렇게 과감하게 총대 수를 조정하였을 경우 총회 장소 선정과 재정 절약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생긴다. 제일 먼저, 중형 교회에서도 총회 개최가 가능해진다. 이와 함께, 총회의 행사 진행에 들어가는 부대비용이 큰 폭으로 감소하게 될 뿐만 아니라, 노회에서도 버스를 대절하거나 숙소와 여비를 지급하는 재정 지출의 액수가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또한 노회에서 총회 총대로 선출되기 위한 과열 양상이 사라질 것이다.

물론 이렇게 총회 총대 수를 갑자기 줄이려면 총회 임원이나 부서와 위원회에 배정되기 위해서는 그 회기 총회 총대여야 한다는 법이 문제가 될 수 있다. 더군다나 총회 임원을 꿈꾸는 사람들이 노회 임원이나 총대로 선출이 안돼 총회에 참석하지 못하여 꿈을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문제가 우려되는 법은 개정하고, 임원을 희망하는 사람은 노회에서 지속적으로 총회에 총대로 참석할 수 있도록 결의나 규칙 개정을 통해 조치를 취하면 될 것이다.

아무튼 총회 총대 수를 지금처럼 유지해서는 예장통합의 미래는 담보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교회들이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1박 2일의 짧은 총회 일정에 막대한 재정이 지출되는 것은 낭비이며 부끄러운 일이다. 통합 총회는 총대 수를 조정하는 데 하루라도 빨리 나서야 한다.
 

통합 하루에 93명씩 감소하는 이유는?

   
▲ 이순창 총회장은 교단 내에서 "하루에 93명씩 감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순창 총회장은 총회 개막식 때부터 기자회견장에서까지 총회 교세통계표를 근거로 “교단 내 성도수가 하루에 93명씩 감소하고 있다”고 반복해서 강조했다. 예장통합 교단의 전체 교인수는 2019년 250만6,985명, 2020년 239만 2,919명, 2021년 235만8,914명으로 불과 2년 사이에 약 15만 명의 교인들이 감소했다(약 6%).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왜 통합 교단을 떠났을까? 단순히 코로나 팬데믹만 핑계삼을 수는 없을 것이다. 혹시 세습금지법을 만들어 놓고서도 이를 위반한 명성교회 세습을 옹호하고 비호하는 모습에 실망하였기 때문은 아닐까?

지난 2021년 보궐선거 당시 논란이 됐던 사건이 있다. 서울과 부산 시장 보궐선거에 후보를 내기 위해서 더불어민주당이 당헌과 당규를 개정한 것이다. 그때 전당원 투표에서 86.6%가 찬성했다고 보도됐다. 하지만 결과는 참혹했다. 서울과 부산 모두 국민의힘에게 내어준 것이다. 때로는 다수의 의견이 민의를 왜곡할 수 있음을 여실히 보여준 예이다.

지금 통합 총회 역시 똑같은 일을 저지르고 있지는 않은가? 세습금지법을 제정해 놓고서는 위반한 대형교회를 치리하기는커녕 오히려 수습안을 만들어 세습을 허용하고, 그 수습안을 문제삼은 헌의안들을 총회 석상에서 폐기시켜 버렸다. 심지어 세습금지법을 폐지하자는 헌의안은 받아들였다. 자신들이 세운 법조차 지키지 않는 총회의 모습에 교단 내 적지 않은 성도들이 실망했을 것은 자명하다. 이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의 교회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게 하는 중대한 계기가 됐을 것이다.

이순창 총회장이 총회 석상에서 ‘하루에 93명의 성도들이 교단에서 감소한다’고 공식적으로 언급했기 때문에, 왜 성도들이 교단을 떠나고 있는지 총회 차원에서 진상조사를 해야 한다. 열성적으로 전도를 하지 않아서인지, 아니면 세습 때문인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다각도로 살펴보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신성 기자 shinsunglee73@gmail.com

<저작권자 © 교회와신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교회와신앙> 후원 회원이 되어주시기 바랍니다.
국민은행 607301-01-412365 (예금주 교회와신앙)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default_side_ad2

포토

1 2 3
set_P1
default_side_ad3

섹션별 인기기사 및 최근기사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